홍보자료

한자협소식

우리 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 최고관리자

  • 2025-01-14

  • 8 회

  • 0 건

본문

수입 밀가루와 수입 밀가루를 원료로 하는 가공 식품의 섭취를 줄이는 것만 으로도 100가지 질병이 저절로 치료가 된다!!



가능한 밀가루 음식 먹지 말아야 한다!!

하지만 먹어야 할 경우 우리 밀 음식을 먹어야 한다.

​우리나라 연간 밀 소비량은 200톤(식용, 사료용 별도) 정도로 추정된다고 한다

그러나 국내 우리 밀 자급률은 0.8%에 불과하니 나머지 99.2%는 수입 밀 이다.



사실상 국내 유통되는 밀가루와 그 가공 식품은 거의 수입산으로 만들어진 제품임에 틀림이 없다.

[우리 밀과 수입 밀은 파종 시기부터 다르다!!]



우리 밀은 대표적인 동계 작물 이어서 가을에 파종한 후 겨울에 성장해서 늦은 봄 또는 초여름에 수확한다.

그러니 국내 우리 밀의 경우 애초부터 농약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이다.

반면에 수입 밀은 하계 작물이다.

봄에 파종 하여 여름에 성장하고 가을에 수확한다.

여름에 성장 하다보니 각종 병충해 예방용 농약류가 무차별 살포 된다.



수입 밀을 수확한 후 한국 등 수출을 위해 상선에 선적 후 40일 이상 소요되는 운송 기간 동안 상선에 선적된 수입 밀이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 수확 후 반듯이 농약 처리를 해야 하는데 이러한 농약 처리 과정을

포스트 하비스트 (post harvest treatment)라고 한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밀가루의 99% 이상이 외국에서 수입하는 수입 밀 이다






수확 후 수출 전에 농약 처리를 하는 대표적인 약품인 치오파네이트메틸은 하루 4mg 이상을 섭취할 경우

인후통, 객담, 피부발진, 결막염 등을 유발하는 독성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또한 발암성 물질이다.



빵 종류(양과자류 포함), 과자류, 피자, 각종 밀가루와 밀가루를 이용한 가공식을 즐겨 섭취 하게 되면

살이 찌는 것은 기본이지만 농약에 찌든 독소를 걸러내는 세포와 혈액 장, 간 그리고 신장 기능이 빨리 망가지므로

40대 후반 부 터 얼굴이 푸석해지고 눈 밑에 다크 서클이 끼고 급격히 노화 되기 시작한다.



오장육부 중 독소를 걸러내는 간과 신장 기능이 망가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수입 밀가루가 하얀 이유는 밀 껍질과 씨 눈 등을 제거한 후 제분소에서 표백제를 투입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수입밀은 농약과 표백제로 범벅이 된 탄수화물 덩어리에 불과하다



밀가루 음식인 짬뽕, 라면, 과자, 피자, 짜장면, 파전, 국수,냉면 등 밀가루 음식이 우리 식탁을 점령한 지 오래된다.

​먹을 땐 맛있지만 왠지 먹고 나면 속이 편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가격이 저렴하므로 많이 남기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대기업이나 상인들은 수입 밀을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밀가루를 원료로 하는 가공 공정 에서 안 들어가는 곳이 거의 없다



심지어 100% 양조 간장에도(수입 밀가루가 13%, 수입콩13%), 국내산 막걸리에도 들어간다고 볼 수 있다



중국집 코스 요리를 먹고 나면 다음날 종종 얼굴이 붓는 경우는 해독 기관인 신장의 과부하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 밀로 만든 음식은 아무리 먹어도 이상이 없다

포스트하비스트 처리된 수입 밀가루는 상온에서 아무리 장기간 보관해도 벌레나 날파리 등이 생기지 않는다



즉 생명이 살 수 없는 죽음의 밀가루를 우리 인간들이 즐겨 먹고 있는 것이다


재래식 화장실에다 수입 밀가루를 뿌리면 살충제 역할을 하는 밀가루 때문에 구더기가 살아 남지를 못한다.



국내 수입밀의 대부분은 美國산 캐나다산과 호주산으로 분류된다

밀을 비행기로 수입이 불가능하므로 수백 수천 톤의 밀은 상선으로 와야 하는데

밀을 수확하고, 선적해서, 태평양 건너 한국까지 당도하려면 적어도 몇 달은 걸린다.



갓 수확한 햇밀이 아니라면,수확한 지 몇 年 된 밀도 들어올 수 있다

정상적인 밀이라면 상선을 타고 수 개월 배위를 떠다니다가 한국에 당도하면 전부 벌레가 끼어 먹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고안해 낸 방법이 바로 '포스트 하비스트(post harvest)' 라는 것이다.



​'포스트 하비스트'란 수확한 뒤에 선적을 하기 전 또다시 농약을 살포하는 과정이다.

유통 과정에 벌레 생기지 말라고, 썩지 말라고 농약을 치는 것이다.

​농사를 짓는 과정에 농약을 치는 것은 그래도 비바람을 맞으며 씻겨갈 기회라도 있다.

그러나 수확을 하고 난 후 변질 방지를 위해 또다시 농약을 퍼부으면 고스란히 소비자의 입안으로 들어올 위험이 훨씬 더 커진다

밀 뿐만 아니라 수입 감자, 옥수수,오렌지, 레몬, 바나나 같은 작물들도 '포스트 하비스트' 처리 농산물이다

​지난 1992년 10월 호주산 수입 밀가루에서 살충 효과가 있는 농약 성분인 "치오파네어트메틸"이 허용 기준의 16 배나 함유된 밀가루

10만 포대가 불법으로 유통되었고, 1993년 2월에는 미국산 수입밀 1만9백6톤 에서는 허용 기준치의 130 배나 검출된 바 있다



치오파네이트메틸 이라는 농약은 곡물을 보관하거나 운송할 때 부패 방지를 위해 뿌리는 농약으로

인후통, 객담, 피부발진, 결막염, 신장장애 등을 유발하는 맹독성을 지니고 있고,발암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밀을 배에 싣기 전에 농약을 폭포처럼 살포하는 장면을 찍은 비디오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적도 있었다

그러나 우리 국민들은 아무리 큰 충격도 세월이 지나면 쉽게 잊어 먹는다



밀은 껍질과 씨 눈을 함께 섭취해야만 건강에 좋지만 껍질과 씨 눈이 제거된 체 선적 되기 전 또다시 농약이 살포된 후 국내에 반입된다



국내에 반입된 밀과 밀가루는 국내 제분소에서 또 다른 가공 과정을 거친다

대부분의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는 국내 유통되는 수입밀은 안전하다고 선전한다



특히 유명 패널들이 수입밀은 안전하다는 헛소리 들을 하고 있으나 절대 믿어서는 안된다



"수입 밀은 쥐도 안 먹는다는 말이 있다"



그러나 우리는 다양하게 수입밀을 섭취하고 있다



지난 1989년 인천항에서 수입밀을 하역 하는 노동자가 아플라톡신 중독으로 사망한 사례가 있었다

소비자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 모임에서 시중 유통 36종 밀제품에 대한 잔류 농약 검사 결과

33종에서 파라치온 등 농약이 검출 (유전자 변이성)된 사실을 발표한 사실이 있으며 ​

미국의 경우 밀 수확 후 수출 전 20종의 농약 처리를 공식적으로 허용해 왔다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금 당장 시중에서 밀가루를 구입 후 포장지에 넣고 개미 등 벌레를 넣고 이틀만 지나면 깨끗이 사망한다

그러나 국내산 우리밀에 똑같은 실험을 하면 오히려 개미들이 더욱 번성한다



농약 중독으로 일어날 수 있는 질환은 간 기능과 신장 기능 훼손, 면역력 저하 신경 장애, 각 기관 기능 저하로 인해

감기 잘 걸려 아토피가 심해지고, 소화 불량에 신경이 날카로워지고 건망증이 심해질 뿐 아니라 조로(早老) 현상이 유발되어

중년의 나이에 일찍 얼굴 살이 축축 처지기까지 한다고 합니다.



한마디로 만 가지 질환의 원인이 된다



지난해 수입 밀가루와 국내산 밀가루로 개미 실험을 한 결과 유기농 수입밀에서도 개미들이 몇 시간 못 넘기고 사망했다

키르키스탄산 유기농 수입밀은 물론 호주산 유기농 밀에서도 불과 5시간 만에 개미들이 사망

즉 ,호주산 밀을 유기농으로 재배해도 수출을 위해 선적 과정에 포스트 하비스트 처리를 하는 것이 원인이기 때문이다.



​국내에 유통되는 밀가루 제품 칼국수와 라면, 짜장면, 우동,수제비, 만두, 햄버거, 피자, 빵, 케이크, 튀김, 온갖 과자류 등.

전 국민이 거의 하루도 거르지 않고 먹게 되는 밀가루 제품,



즉 밀가루는 99% 수입 이라는 것을 대부분 알고 있다.

​주로 미국산, 그다음이 호주산, 캐나다산 순이다



<식품 첨가물에 대한 상식>


방부제는 식품의 유통기한을 연장하거나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이다.

상하기 쉽고 신선도를 유지해야 하는 식품에 들어간다



치즈,잼,마가린, 버터,빵, 고추장,된장, 간장, 육류 가공품, 통조림 등



산도 조절제는 알칼리성과 산성의 정도를 조절 하는 기능을 첨가물로 한 끼 식사 대용으로 먹게 되는 단백질 보충제, 스포츠 음료,

과일쥬스, 신맛을 강화한 조미료 등에 들어간다



표백제란 식품의 색을 깨끗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과자와 빵의 주원료인 밀가루, 그 외 하얀 가루 종류인 튀김 가루,

설탕, 분말, 수프 등에 들어간다



고결 방지제는 식품의 구성품들이 서로 엉겨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투입되는 성분인데 유제품이나 케이크, 훈제 식품, 아이스크림 등에 들어간다

​고결 방지제(이산화규소)첨가를 통해 식품의 외관이 매끄럽고 보기 좋게 유지될 수 있다

고결제란 젤을 만들 때 과일의 조직을 단단하게 유지해주는 기능을 하는 식품 첨가물이다.



베이컨, 마카롱, 쿠키,햄,소세지 등에 들어간다.



한마디로 식품 첨가물은 신장 기능(즉 해독 기관)을 파괴하는 주적이다



신장 투석을 하는 환자들은 거의 대부분 신장을 망가뜨리는 가공 식품을 즐겨 먹었기 때문에 발병한다



역으로 해석하면 신장 투석 중인 환자는 위와 같은 식품 첨가물이 들어간 음식을먹으면 질병이 더욱 악화된다는 것이다



가공 식품의 뒷면에 사용되어지는 식품 첨가물은 600 여 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품 첨가물의 종류와 특징!!]

보존성과 품질, 식감, 맛과 상품성 향상을 위해 투입되는 식품 첨가물은 한마디로소비자를 속이는 기망행위이다



[감미료]

대표적인 감미료 : 아스파탐, 사카린, 소르비톨 등

대표적인 식품 : 과자, 아이스크림, 음료



[산화방지제]

식품의 산패를 막아주는 식품 첨가물로 와인에 들어가는 아황산염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산화방지제 : 아황산나트륨, 이산화황, 아스코르빈산나트륨

대표적인 식품 : 와인, 식용유, 마요네즈



[산미료]

식품에 신맛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식품 첨가물로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대표적인 산미료 : 구연산, 글루콘산, 호박산, 초산나트륨

대표적인 식품 : 음료, 젤리



[팽창제]

팽창제는 가스를 발생 시켜 케이크나 빵 등을 부풀리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팽창제 : 탄산염류, 중탄산염류

대표적인 식품 : 케이크, 빵, 도넛 등 제과 제빵류



[착색료]

식품의 색상을 개선하거나 추가하는 역할을 합니다.



화학적으로 만든 합성 색소와 천연 색소로 구분됩니다.



천연 색소 : 오징어 먹물, 적 양배추, 캐러멜 색소 등

사용 식품 : 사탕, 젤리, 빙과류 등



[안정제]

식품의 안정성을 유지해주고 혼합물의 텍스처를 향상 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안정제 :

변성전분, 글루코사민, 구아검, 펙틴,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등



사용 식품 : 발효유, 젤리, 푸딩 등



[보존료]

식품의 장기간 보관을 위해 미생물의 생성 및 활동을 억제해주는 식품 첨가물입니다.



식품이 부패 되는 현상과 식중독 균이 생기는 걸 막아줍니다.



대표적인 보존료 : 소르빈산, 무수아황산,

아황산나트륨, 소르빈산칼륨



사용 식품 : 빵, 소시지, 유제품 등



[착향료]

향이 필요한 식품에 향을 부여하고, 식욕을 돋구는 데 사용되며,



천연착향료와 화학적인 합성을 이용해 만든 합성착향료가 있습니다.



합성착향료 : 바닐라향, 딸기향 등

사용 식품 : 껌, 아이스크림, 음료 등



[향미증진제]

식품에 감칠맛을 부여하는 식품 첨가물로 식품에 함유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핵산계, 아미노산계, 유기산계, 무기염류 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향미증진제 : 글루타민산나트륨(MSG), 핵산류(IMP, GMP)



사용 식품 : 조미료


IMP :

이노신산으로 5-이노신산을 주로 사용하며, 음식의 맛을 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MSG :

글루타민산나트륨으로 미원이 대표적인 MSG입니다.



다시마의 감칠맛을 갖는 조미료로 맛을 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GMP :

구아노신일인산의 약자로 핵산의 구성 성분 중 하나 입니다.



[구아노신 5′-일인산]이 식품의 향미 증진제로 사용됩니다.



[산도조절제]

수산화나트륨, 황산, 구연산



식품의 산도를 원하는 점위로 조절하는 식품 첨가물로 식품을 오랜 기간 보존하기 위해서 사용되거나 식품의 산화 방지와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사용 식품 : 면, 치즈 ,발효유 등



[영양강화제]

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파괴될 수 있는 영양소를 보완해주는 식품 첨가물로



식품의 색이나 맛, 향 등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대표적인 영양강화제 :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사용식품 : 시리얼 등



[발색제]

육류 가공품의 발색을 위해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로, 육류 가공품의 색과 풍미를 향상 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색과 풍미 외에 보존성 또한 높아집니다.



대표적인 발색제 : 아질산나트륨 등

사용 식품 : 햄, 소시지, 명란젓 등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